무라카미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카미 천황은 946년 스자쿠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일본의 제62대 천황이다. 덴랴쿠의 치세로 불리며, 검약을 통해 재정을 안정시키고, 《고센슈》 편찬과 내전가합을 여는 등 문치 정치를 펼쳤다. 와카 작가이자 가단의 비호자로서 헤이안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외척 정치 강화와 잦은 재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42세에 사망했으며, 그의 후예는 무라카미 겐지로 불리며 궁정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고 천황의 자녀 - 스자쿠 천황
다이고 천황의 아들인 스자쿠 천황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보좌를 받았으나, 재위 기간 동안 조헤이·덴교의 난과 자연재해가 잇따랐고, 자식 없이 동생에게 양위한 후 출가하여 사망하였다. - 무라카미 천황 - 후지와라노 안시
후지와라노 안시는 헤이안 시대 무라카미 천황의 후궁으로 구조류 섭관 가문 출신이며 레이제이 천황과 엔유 천황을 낳아 구조류 섭관가의 발전에 기여했고 중궁에 책립되었으며 사후 황태후와 태황태후로 추증된 인물이다. - 무라카미 천황 - 후선 와카집
후선 와카집은 헤이안 시대 중기에 편찬된 칙찬 와카집으로, 편찬 연도는 불분명하나 덴랴쿠 말년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금 와카집》 시대 가인들과 당대 권문세족 및 여류 가인들의 작품이 비중 있게 수록된 것이 특징이다. - 926년 출생 - 유균
북한의 제2대 황제인 유균은 유승균에서 개명하였으며, 요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았고, 곽무위를 재상으로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하고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 926년 출생 - 파란타카 2세
파란타카 2세는 10세기 중후반 촐라 왕조의 군주로서 판디아 왕조에 맞서 싸우고 스리랑카를 침공했으며, 민주적인 통치와 타밀 문학 장려에도 힘썼으나 아들의 암살이라는 비극을 겪었다.
무라카미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무라카미 천황 (村上天皇) |
휘 | 나리아키라 (成明) |
추호 | 무라카미 천황 (村上天皇) |
별칭 | 덴랴쿠테이 (天暦帝) |
재위 기간 | 946년 5월 23일 - 967년 7월 5일 |
즉위일 | 946년 5월 31일 |
즉위 유형 | 일본 |
선대 천황 | 스자쿠 천황 |
후대 천황 | 레이제이 천황 |
출생일 | 924년 7월 14일 |
출생지 | 헤이안쿄 (교토) |
사망일 | 967년 7월 5일 |
사망지 | 헤이안쿄 세이료덴 |
릉묘 | 무라카미노 미사사기 (村上陵) (교토) |
아버지 | 다이고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온시 |
통치 | |
연호 | 덴교 덴랴쿠 텐토쿠 오와 고호 |
수도 | 헤이안쿄 |
궁궐 | 헤이안 궁 |
가계 | |
배우자 | 후지와라노 안시 |
자녀 | 레이제이 천황 엔유 천황 그 외 다수 |
황후 | 해당 정보 없음 |
중궁 | 후지와라노 안시 |
여어 | 기시 여왕 쇼시 여왕 후지와라노 노부코 후지와라노 요시코 |
후궁 | 미나모토노 기시 그 외 다수 |
부인 | 해당 정보 없음 |
남편 | 해당 정보 없음 |
기타 | |
원복 | 940년 3월 26일 |
2. 약력
944년 4월 22일에 황태자가 되었고 946년 4월 13일에 스자쿠 천황의 양위에 의해 같은 달 28일에 즉위하였다.
선대에 이어 천황의 외장인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간파쿠를 맡았지만, 949년에 다다히라가 죽으면서 이후 섭관을 두지 않고 천황이 친정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치의 실권은 여전히 섭정인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모로스케 형제에게 있었고 어머니인 온시와 형 스자쿠 법황도 후견을 명목으로 정치에 관여하려고 했기 때문에 친정은 상징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다이라노 마사카도·후지와라노 스미토모가 일으킨 조헤이·덴쿄의 난(935년~940년) 후에 조정의 재정이 궁해져서, 검약에 힘써 물가를 안정시켰다.
문치면에서는 951년에 《고센슈》의 편찬을 하명하거나 960년 3월에 내전가합을 열었으며, 와카(和歌일본어) 작가이자 가단의 비호자로서 후세에 평가된다. 또 거문고·비파 등의 악기에도 정통해 헤이안 문화를 개화시킨 천황이라고 할 수 있다.
천황의 치적은 '덴랴쿠의 치'로서 후세에 칭송되었다. 그러나 이 시대에 외척 정치의 토대가 강화되어 관리 기강에 공정함이 없어졌으며 960년 내전 소실을 시작으로 수많은 재난이 있었다.
967년 5월 25일, 42세로 사망하였다. 또 황자 도모히라 친왕의 후예는 '무라카미 겐지(村上源氏일본어)'로서 이후 궁정 정치에 큰 영향력을 주게 된다.
그가 천황으로 즉위하기 전, 그의 휘(''이름'')는 나리아키라 친왕(成明親王)이었다.[4]
나리아키라 친왕은 다이고 천황의 14번째 아들이자, 다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스자쿠 천황의 동생이었다.[5]
무라카미 천황은 10명의 황후와 비, 그리고 19명의 황자 및 황녀를 두었다.[6]
제14 황자였지만, 어머니가 중궁이었기 때문에 중시되었으며, 탄생한 해 11월에 친왕 선하를 받았다. 덴교 3년(940년) 2월, 원복을 치렀다. 삼품에 서위되었고, 가미쓰케노노 다이슈, 다자이노 소치를 거쳤다.
2. 1. 즉위 전
944년 4월 22일에 황태자가 되었고, 946년 스자쿠 천황의 양위에 의해 즉위하였다.2. 2. 덴랴쿠의 치
무라카미 천황은 944년 4월 22일에 황태자가 되었고, 946년 4월 13일에 스자쿠 천황의 양위로 946년 4월 28일에 즉위하였다.[7][8] 선대에 이어 천황의 외척인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간파쿠를 맡았지만, 949년에 다다히라가 죽으면서 이후 섭관을 두지 않고 천황이 친정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치의 실권은 여전히 섭정인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모로스케 형제에게 있었고[9] 어머니인 온시와 형 스자쿠 법황도 후견을 명목으로 정치에 관여하려고 했기 때문에 친정은 상징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다이라노 마사카도·후지와라노 스미토모가 일으킨 조헤이·덴쿄의 난(935년~940년) 후에 조정의 재정이 궁핍해져서, 검약에 힘써 물가를 안정시켰다.
문치면에서는 951년에 《고센슈》의 편찬을 하명하거나[10] 960년 3월에 내전가합을 열었으며, 와카(和歌) 작가이자 가단의 비호자로서 후세에 평가된다. 또 거문고·비파 등의 악기에도 정통해 헤이안 문화를 개화시킨 천황이라고 할 수 있다.
천황의 치적은 '덴랴쿠의 치'로서 후세에 칭송되었다. 그러나 이 시대에 외척 정치의 토대가 강화되어 관리 기강에 공정함이 없어졌으며 960년 내전 소실을 시작으로 수많은 재난이 있었다.[11]
967년 5월 25일, 42세로 사망하였다.[11] 또 황자 도모히라 친왕의 후예는 '무라카미 겐지(村上源氏)'로서 이후 궁정 정치에 큰 영향력을 주게 된다.
2. 3. 후지와라 섭관 정치 강화
944년 4월 22일 황태자가 되었고, 946년 4월 13일 스자쿠 천황의 양위로 같은 달 28일 즉위하였다.[7][8] 선대에 이어 천황의 외장인 후지와라노 다다히라가 간파쿠를 맡았지만,[7] 949년 다다히라가 죽으면서 이후 섭관을 두지 않고 천황이 친정을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치의 실권은 여전히 섭정인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모로스케 형제에게 있었고[9] 어머니인 온시와 형 스자쿠 법황도 후견을 명목으로 정치에 관여하려고 했기 때문에 친정은 상징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다이라노 마사카도·후지와라노 스미토모가 일으킨 조헤이·덴쿄의 난(935년~940년) 후에 조정의 재정이 궁해져서, 검약에 힘써 물가를 안정시켰다.
문치면에서는 951년에 《고센슈》의 편찬을 하명하거나[10] 960년 3월에 내전가합을 열었으며, 와카(和歌) 작가이자 가단의 비호자로서 후세에 평가된다. 또 거문고·비파 등의 악기에도 정통해 헤이안 문화를 개화시킨 천황이라고 할 수 있다.
천황의 치적은 '덴랴쿠의 치'로서 후세에 칭송되었다. 그러나 이 시대에 외척 정치의 토대가 강화되어 관리 기강에 공정함이 없어졌으며 960년 내전 소실을 시작으로 수많은 재난이 있었다.[11]
967년 5월 25일, 42세로 사망하였다.[11] 또 황자 도모히라 친왕의 후예는 '무라카미 겐지(村上源氏)'로서 이후 궁정 정치에 큰 영향력을 주게 된다.
2. 4. 잦은 재난
무라카미 천황의 치세는 '덴랴쿠의 치'로서 후세에 칭송받았으나, 잦은 재난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1] 960년에는 794년 나라에서 헤이안쿄로 수도가 옮겨진 이후 처음으로 황궁이 불에 타는 사건이 발생했다.[11] 이 외에도 여러 재난이 발생하여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다.3. 일화
무라카미 천황은 『대경(大鏡)』 미치나가 하(道長下)에 있는 오우슈바이(鶯宿梅, おうしゅくばい) 일화로 유명하다.
어느 날 대궐 청량전 앞에 있던 매화나무가 말라 버렸는데, 천황은 이를 대신할 다른 나무를 찾도록 명했다. 이곳저곳을 찾아 보았으나 대체할 만한 것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던 중에 사자는 교토 바깥에 있는 어느 집에 매우 훌륭한 홍매화나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자는 곧 왕명이라 말하며 홍매화나무를 파내어 대궐로 옮기도록 했고, 이때 매화가 심어져 있던 집의 주인은 단자쿠를 가지에 매어 가져가게 하였다.
청량전 앞에 옮겨 심은 그 홍매화나무는 전에 그 자리에 있던 것 못지 않은 훌륭한 것으로 천황은 크게 기뻐하였는데, 문득 가지에 단자쿠가 묶여 있는 것을 보고 수상쩍게 생각하고 풀어보니, 거기에는 여성의 글씨로 「칙명이로되 저기 꾀꼬리 와서 제 둥지를 물으면 어이 답할고」(勅なればいともかしこし鶯の 宿はと問はばいかが答へむ)라는 노래가 쓰여 있었다. 해석하면 칙명이라 송구하옵게도 거절할 수는 없으나, 이 홍매화나무 가지에 해마다 찾아와 둥지를 틀던 꾀꼬리가 돌아와서 우리 집은 어디 있느냐고 물으면 나는 뭐라고 대답할까 라는 뜻이다.
이 노래의 작자가 범상치 않은 인물임을 느낀 천황은 즉시 그 집을 찾게 하였고, 그 집의 주인은 바로 가인으로 유명한 기노 쓰라유키의 딸 기노 나이시(紀内侍)였으며, 아버지가 죽은 뒤 기노 나이시는 아버지가 손에 넣은 그 홍매화나무를 아버지라 여기며 매우 아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천황은 「이거 짐이 참으로 미안한 짓을 하였도다」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 오우슈바이의 노래는 칙찬(勅撰)으로 편찬된 와카 모음집 『拾遺和歌集』에도 수록되었다(雑下・よみ人知らず).
4. 연호
무라카미 천황의 치세는 연호(''nengō'')로 구체적으로 식별된다.[15] ''덴교''(938–947), ''덴랴쿠''(947–957), ''덴토쿠''(957–961), ''오와''(961–964), ''고호''(964–968)가 사용되었다.
5. 가계도
- 황후 : 후지와라노 안시/야스코(藤原 安子) (927~964)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藤原 師輔)의 딸
- * 제1황녀 : 요시코 내친왕(承子 内親王) (948~951)
- * 제2황자 : 노리히라 친왕(憲平 親王) - (레이제이 천황)
- * 제4황자 : 타메히라 친왕(為平 親王) (952~1010)
- * 제7황녀 : 스케코 내친왕(輔子 内親王) (953~992)
- * 제9황녀 : 스케코 내친왕(資子 内親王) (955~1015)
- * 제6황자 : 모리히라 친왕(守平 親王) - (엔유 천황)
- * 제10황녀 : 노부코 내친왕(選子 内親王) (964~1035)
- 뇨고(女御) : 타카코여왕(荘子 女王) (930~1008) - 다이고 천황의 3남 요아키라 친왕의 딸
- * 제6황녀 : 야스코 내친왕(楽子 内親王) (952~998)
- * 제8황자 : 노리노츄쇼왕(後中書王) 토모히라 친왕(具平 親王) (964~1009) - 로쿠조노미야(六条宮)
- 뇨고(女御) : 센요덴노 뇨고(宣耀殿女御) 후지와라노 요시코(藤原 芳子) (?~967) - 후지와라노 모로마사(藤原 師尹)의 딸
- * 제7황자 : 마사히라 친왕(昌平 親王) (956~961)
- * 제9황자 : 나가히라 친왕(永平 親王) (965~988)
- 뇨고(女御) : 죠쿄덴노 뇨고(承香殿 女御) 요시코여왕(徽子 女王) (929~985) - 다이고 천황의 4남 시게아키라 친왕의 딸
- * 제4황녀 : 노리코 내친왕(規子 内親王) (949~986)
- 뇨고(女御) : 코키덴노 뇨고(弘徽殿 女御) 후지와라노 노부코(藤原 述子) (933~947)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藤原 実頼)의 딸
- 코이(更衣) : 사이쇼노 코이(宰相 更衣) 미나모토노 카즈코(源 計子) (?~960) - 미나모토노 모로아키라(源 庶明)의 딸
- * 제2황녀 : 마사코 내친왕(理子 内親王) (948~960)
- * 제5황녀 : 사카코 내친왕(盛子 内親王) (?~998)
- 코이(更衣) : 벤노 코이(弁 更衣) 후지와라노 유죠(藤原 有序) (?~960) - 후지와라노 아리스케(藤原 有相)의 딸
- 코이(更衣) : 츄죠노 코이(中将更衣) 후지와라노 나가코(藤原 脩子) (?~960) - 후지와라노 아사히라(藤原 朝成)의 딸
- 코이(更衣) : 아제치노 미야스도코로(按察御息所) 후지와라노 마사히메(藤原正妃) (?~967) - 후지와라노 아리히라(藤原 在衡)의 딸
- * 제3황녀 : 죠산노미야(女三宮) 야스코 내친왕(保子 内親王) (949~987)
- * 제3황자 : 호산노미야(法三宮) 무네히라 친왕(致平 親王) (951~1041)
- * 제5황자 : 이와시로노미야(岩蔵宮) 아키히라 친왕(昭平 親王) (954~1013)
- 코이(更衣) : 후지와라노 스케히메(藤原祐姫) - 후지와라노 모토카타(藤原元方)의 딸
- * 제1황자 : 히로히라친왕(広平親王 950~971)
- * 제8황녀 : 츠구코내친왕(緝子内親王 953-955?~970)
- 상시(尚侍) : 죠간덴노 나이시노카미(貞観殿尚侍) 후지와라노 나리코(藤原登子) (?~975)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藤原 師輔)의 딸
5. 1. 조상
{{족보|collapsed=yes |align=center
|boxstyle_1=background-color: #fcc;
|boxstyle_2=background-color: #fb9;
|boxstyle_3=background-color: #ffc;
|boxstyle_4=background-color: #bfc;
|1= 1. '''무라카미 천황'''
|2= 2. 다이고 천황 (885-930)
|3= 3. 후지와라노 온시 (885-954)
|4= 4. 우다 천황 (867-931)
|5= 5. 후지와라노 인시 (사망 896)
|6= 6.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836-891)
|7= 7. 소시 공주
|8= 8. 고코 천황 (830-867)
|9= 9. 한시 공주 (833-900)
|10=10. 후지와라노 다카후지 (838-900)
|11=11. 미야지노 쓰라코
|12=12. 후지와라노 나가라 (802-856)
|13=13. 후지와라노 오토하루
|14=14. 사네야스 친왕 (831-872)
|15=
}}
{{ahnentafel-compact5
|style=font-size: 90%; line-height: 110%;
|border=1
|boxstyle=padding-top: 0; padding-bottom: 0;
|boxstyle_1=background-color: #fcc;
|boxstyle_2=background-color: #fb9;
|boxstyle_3=background-color: #ffc;
|boxstyle_4=background-color: #bfc;
|boxstyle_5=background-color: #9fe;
|1= 1. 제62대 무라카미 천황
|2= 2. 제60대 다이고 천황
|3= 3. 후지와라 온시
|4= 4. 제59대 우다 천황
|5= 5. 후지와라 인시
|6= 6. 후지와라 모토쓰네
|7= 7. 닌코 친왕의 딸
|8= 8. 제58대 고코 천황
|9= 9. 한시 여왕
|10= 10. 후지와라 다카후지
|11= 11. 미야치노 레쓰코
|12= 12. 후지와라 나가라
|13= 13. 후지와라 오토하루
|14= 14. 닌코 친왕
|16= 16. 제54대 닌묘 천황(=28)
|17= 17. 후지와라 사와코(=29)
|18= 18. 나카노 친왕
|20= 20. 후지와라 요시카도
|21= 21. 다카다 하루코
|22= 22. 미야치노 야마스
|24= 24. 후지와라 후유쓰구
|25= 25. 후지와라 미쓰코
|26= 26. 후지와라 후사쓰구
|28= 28. 제54대 닌묘 천황(=16)
|29= 29. 후지와라 사와코(=17)
}}
무라카미 천황은 다이고 천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온시이다. 우다 천황은 그의 할아버지이며, 후지와라노 인시는 그의 친할머니이다. 외할아버지는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이고, 외할머니는 닌코 친왕의 딸인 소시 공주이다. 고코 천황은 그의 증조부이며, 한시 여왕은 그의 친증조모이다.
6. 재위 중의 중신
무라카미 천황 재위 기간 동안, 조정에는 '''공경'''(公卿)이라 불리는 극소수의 권력자들이 있었다.[13] 이들은 세습 귀족으로, 경험과 배경을 바탕으로 일생의 경력의 정점에 오른 인물들이었다.
무라카미 천황 치세의 ''태정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9]
- ''관백'' 겸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타다히라(藤原忠平) (880–949)[9]
- ''좌대신'', 후지와라노 사네요리(藤原実頼) (900–970)[14]
- ''우대신'', 후지와라노 모로스케(藤原師輔) (908–960)[9]
- ''우대신'', 후지와라 아키타다(藤原顕忠)
- ''우대신'', 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源高明일본어
949년 후지와라노 타다히라가 사망한 이후에는 관백을 두지 않고, 좌대신 후지와라노 사네요리가 조정을 이끌었다. 960년에는 후지와라노 모로스케가 사망하고, 후지와라 아키타다가 우대신이 되었다.
7. 무덤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교토시우쿄구 나루타키 우타노다니에 있는 '''무라카미 능'''(무라카미노미사사기)으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상의 형식은 원구이다.
일본기략에는 야마시로국 가도노군 타무라향 기타나카오에 매장되었다는 기사가 있다.
황거에서는 궁중삼전 중 하나인 황령전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무라카미 천황의 영이 모셔져 있다.
8.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Gukanshō
1979
[3]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3]
Google books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4]
서적
Jinnō Shōtōki
[4]
서적
Gukanshō
[5]
서적
Jinnō Shōtōki
[6]
서적
Gukanshō
[7]
서적
Gukanshō
[7]
서적
Jinnō Shōtōki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8]
서적
Jinnō Shōtōki
[9]
서적
Gukanshō
[10]
서적
Gukanshō
[11]
서적
Gukanshō
[1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3]
웹사이트
kugyō of Murakami-tennō
http://www.furugosho[...]
[14]
서적
Gukanshō
[15]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